300만 세대 임대료를 불법적으로 조정했다?
지난 8월 미 법무부와 8개 주 검찰은 RealPage를 고소했습니다. 법무부는 회사가 비공개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건물주들이 임대료를 책정하도록 돕고 있으며, 세입자에게 과도한 임대료 인상과 독점 금지법을 위반한다고 주장했죠. 실제로 건물주의 90%가 소프트웨어가 제안하는 가격 변경을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정부는 회사가 전국 300만 세대의 임대료 가격을 불법적으로 조정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연방 정부의 RealPage를 상대로 한 가격 담합(Price-fixing) 소송이 길어지자, 일부 도시와 주 정부가 기다리지 않고 직접 대응에 나섰습니다.
샌프란시스코 필라델피아는 주거용 부동산의 알고리즘 기반 임대료 책정 시스템을 제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시카고, 샌디에고, 뉴저지 등 입법을 검토 중입니다.
RealPage: 우리는 억울해!
RealPage는 이런 혐의를 부인하며, 건물주가 가격 권장 사항을 따를 필요가 없다고 논박했습니다. 회사 측은 비공개 데이터가 임대료 책정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주장했죠. 그러면서도 건물주들이 비공개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선택 해제(opt-out) 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하며 한 발짝 물러선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다만 정부와 시의회는 '기술'이 문제가 아니라 기술을 통한 '반시장적 가격 담합'을 문제로 꼬집었습니다. ▲경쟁사 간 민감한 임대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공유하고 인위적으로 임대료를 높이는 '카르텔' 행위(시장 경쟁 저해 행위) ▲소프트웨어가 건물주들에게 임대 가격 협상을 강하게 저지한 점 ▲세입자들에게 가능한 최고로 높은 임대료 부과 권장 등 조사 과정에서 반시장적 행위가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임대료 상승이 AI 알고리즘 탓은 아니야
미국 부동산 업계는 공급 부족에 따른 부수적인 현상이라 보고 있습니다. 많은 경제학자들이 미국의 상승하는 주거 비용의 근본 원인은 주택 공급 부족이라 믿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샌프란시스코와 필라델피아도 해당 소프트웨어의 임대료 책정을 완전 금지하진 않았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면 소프트웨어 사용을 허락해 줬기 때문입니다.
미국 의회는 RealPage가 비공개 데이터 사용을 중단하도록 압박함으로써 세입자와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보유한 대형 건물주 사이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첫걸음을 내디뎠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비공개 데이터가 집주인들이 최종적으로 부과하는 임대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등 논란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법무부의 소송이 어떤 식으로 흘러갈지 지켜봐야 할 일입니다. |
국내외 상업용 부동산 업계 종사자 3만명이 이 레터를 읽고 있습니다.
경제·산업 이슈 한눈에 보기
미국의 한 자산관리 소프트웨어 회사가 임대료 가격 담합으로 인해 홍역을 치르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AI 기반 알고리즘으로 건물주에게 권장 임대료를 제안하는 기업이었는데요. 미국 주요 대도시의 시의회, 연방 정부 등이 해당 기능을 제한하고 나섰습니다.
부동산을 사고팔거나, 임차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자료가 등기입니다. 부동산의 소유권과 그 외 권리 사항을 시간 순서로 기록이 돼 있기에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도 당연히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번에 우리 회사가 등기 및 부동산 종합 공부 열람 서비스 데이터허브를 출시합니다. 이를 개발한 CREP기획팀은 사내 정보 업무 관리 서비스인 RTB를 중심으로 IT 서비스 체계의 방향성과 기능을 구상하고 관리하는 조직인데요. 이들이 만든 데이터허브는 어떤 제품인지 또 그들이 어떤 일을 하는지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알스퀘어가 국내 상업용 부동산 업계 최초로 누적 거래액(임차 중개, 임대 대행, 매매 자문 등) 1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27일 알스퀘어에 따르면 누적 거래액(환산 전세가, 2024년 3분기 기준) 10조원을 넘어섰습니다. 회사 설립 이래 연결한 누적 거래 면적은 440만㎡로 여의도(290만㎡)의 1.5배, 코엑스 전체 임대 면적(18만㎡)의 24배를 웃도는 규모입니다.
앞서 2022년까지 알스퀘어의 누적 거래 면적(임대차, 매매 등)은 150만㎡이었습니다. 회사는 290만㎡의 거래 면적을 2년 새(2023년~2024년) 더했습니다.
특히 이번 성과는 알스퀘어가 보유한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와 서비스의 경쟁력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알스퀘어는 최근 공개한 '알스퀘어 애널리틱스'를 통해 아시아 첫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설루션을 선보이며, 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우리는 AI와 알고리즘이 곧 도래할 것이라 기다리는 시대가 아니라
이미 그 시대에 살고 있다”
필라델피아 시의원 니콜라스 오루르크가 임대료 책정 소프트웨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하며 한 말입니다. 미국의 주요 도시가 알고리즘 기반 임대료와 전쟁을 치르고 있는데요. 논란의 중심은 미국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 회사 'RealPage' 입니다.
이 회사는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건물주의 임대료 책정에 도움을 주는 회사인데요. 최근 샌프란시스코, 필라델피아 등 주요 대도시가 '주거용 부동산 알고리즘 기반 임대료 책정 시스템 제한' 법안을 통과시켜서 화제입니다.
100억 이상
초고가 아파트 TOP14
누가 샀고, 누가 사나
올해 서울의 아파트 중 가장 비싸게 거래된 아파트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운데 최고가 거래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에서 나왔습니다. 지난 6월 전용면적 273.94㎡가 200억원에 거래된 데 이어 7월 전용 273.41㎡가 220억원에 거래되며 올해 아파트 거래가격 1, 2위를 차지했습니다.
3위는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235㎡(180억원), 4위는 성동구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98㎡(145억), 5위는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전용 244㎡(120억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00억원 이상 거래된 아파트는 모두 14건으로 조사됐습니다.
상지리츠빌카일룸2차 전용 244.32㎡(100억원)이 14위를 기록하며 100억원대 아파트에 진입했습니다.
30만 개의 딥∙유니크 데이터로